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ist
- 비트 코인
- 이더리움
- 2448
- 세 수
- 시험 성적
- 1%d
- 10817
- 백준
- 1546
- 알고리즘 문제풀이
- 더하기 사이클
- Dapp
- 10871
- 자바스크립트
- 별 찍기 - 11
- 1065
- X보다 작은 수
- Baekjoon
- 평균은 넘겠지
- 솔리디티
- 단계별로 풀어보기
- for문 사용해보기
- 1110
- 가상 화폐
- 블록 체인
- 함수 사용하기
- 그대로 출력하기
- Remix
- if문 사용해보기
- Today
- Total
목록Technology (82)
블링블링 범블링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전송 데이터를 프레임이라는 작은 단위로 나누어 처리한다. 전송 프레임에는 상위 계층에서 보낸 전송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섬, 송수신 호스트의 주소, 기타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제어 코드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프레임은 내부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문자 프레임과 비트 프레임으로 나누어진다. 문자 프레임은 프레임의 내용이 문자로만 구성된다. 프레임의 시작과 끝에 특수 문자를 사용하여 구분하는데 시작에는 DLE/STX가 나오고 끝에는 DLE/ETX를 두어 프레임을 다른 정보와 구분하게 된다. 하지만 데이터 안에도DLE/STX나 DLE/ETX 와 같은 문구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어 데이터를 읽는 과정에서 혼선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자 스터핑이..
오류 제어는 호스트 간의 데이터 전송이 일어날 때 데이터의 오류에 관련된 제어를 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에서 주로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의 질문들을 통해 오류 제어에 대해 알아보자. ∙송신 측은 수신 측이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이는 응답 메커니즘에 의해 알 수 있다. 긍정 응답을 할 경우 제대로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송한 데이터가 중간에 손실된 경우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이와 같은 경우에 수신 측에서 이를 판단할 방법은 없다. 그렇다면 송신 측에서 이를 판단해야한다. 송신 측에서 타이머를 설정하여 주어진 시간 동안에 긍정 응답이 오지 않을 경우 손실로 판단하는 것이다. 긍정 응답 회신이 없으면 타임아웃 기능을 동작시켜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
네트워크는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호스트들을 연결해 하나의 통신망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크게 3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자원 공유, 병렬 처리에 의한 성능 향상, 중복 저장으로 인한 신뢰성 향상으로 될 수 있다.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컴퓨터 하드웨어 외에 물리적, 논리적 정보 공유를 할 수 있고 시스템이 수행할 작업을 분할해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처리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용한 정보를 여러 시스템에 중복 저장하여 하드디스크 손상과 같은 데이터 손실에 대한 복구가 가능하다. 한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과정을 데이터 전달이라고 한다. 데이터 전달에는 두 가지 과정이 존재하는데 교환과 전송이다. 교환은 둘 이상의 경로 중에 어느 방향으로 전달할지 선택을 하..
인터네트워킹은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기능이다. 지금까지는 한 네트워크 안에서의 데이터 교환을 보았다면 지금부터는 네트워크 간의 교환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교환은 라우팅 장비가 수행한다. 인터네트워킹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라고 한다. 게이트웨이는 앞서 말한 중개노드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기능에 따라 리피터, 브리지, 라우터로 구분된다. 리피터는 게층 1의 기능을 지원한다. 한쪽 단에서 들어온 비트 신호를 증폭하여 다른 단으로 단순히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신호를 증폭하는 것이 이로운 점도 있지만 잡음도 같이 증폭을 한다는 점에서 단점도 존재한다. 라우터는 계층 3의 기능을 지원한다. 교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여러 포트를 사용해 ..
이번 장에서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분류해보는 공부를 해볼 것이다. 호스트 사이의 연결 거리를 기준으로 네트워크를 LAN, MAN, WAN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연결 거리는 데이터의 전송 지연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네트워크를 설계할 때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가까울수록 데이터 전송 지연이 적으며, 전송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도 낮다. LANLAN은 단일 건물이나 학교 같은 소규모 지역에 위치하는 호스트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호스트의 간격이 가깝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한다. 브로드캐스팅 방식은 앞에서 설명하였지만 다시 한 번 집어보자면 일대다 통신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이다. LAN 환경에서 호스트를 연결하는 방식으로는 버스형과 링형이 ..
네트워크 양단에 연결된 호스트들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 경로 중간에 위치한 교환 시스템을 거친다. 네트워크 계층에서 하는 경로를 올바르게 선정하는 교환 기능이 제공된다. 교환 시스템에는 크게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이 존재하고 이외에 셀 릴레이와 프레임 릴레이가 존재한다. 회선 교환 방식은 고정 대역을 할당된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다른 말로 하자면 데이터가 전송될 때 지나가는 길이 정해져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안정적인 전송률을 가질 수 있고 라우팅의 작업이 쉽다. 논리적인 전송 선로를 전용으로 할당받아 모든 데이터가 같은 경로로 전달된다. 패킷 교환 방식은 패킷이라는 일정 크기로 나누어 전송하며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라우팅 과정을 거쳐 목적지에 도달하는 방식이다. 이..
인터넷은 데이터의 중개 기능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계층으로 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이다. 따라서 인터넷에 연결하고자 하는 호스트는 반드시 IP 프로토콜을 지원해야 하며, 전송 계층은 TCP나 UDP를 사용한다. 컴퓨터 네트워크 구현 모델은 사용자 공간과 시스템 공간(운영체제)으로 이루어진다. 앞선 장에서 말했듯이 전송 계층까지의 4계층은 시스템 공간인 운영체제 내부에 구현된다. TCP/IP와 하위 계층의 기능을 담당하는 LAN 카드 드라이버 루틴은 운영체제 영역에 속한다. 사용자 공간에는 다양한 프로세스가 존재할 수 있다. 시스템 공간TCP와 UDP는 시스템 운영체제인 커널 내부에 구현되어 사용자가 직접 이용할 수 없다. 대신 소켓 인터페이스라는 전송 계층의 프라미티브를 사용해서 시스템 콜 기능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