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1065
- 1%d
- 10817
- for문 사용해보기
- 자바스크립트
- 비트 코인
- 별 찍기 - 11
- 백준
- 더하기 사이클
- 10871
- 1110
- Baekjoon
- 단계별로 풀어보기
- 평균은 넘겠지
- Mist
- 1546
- 블록 체인
- 시험 성적
- if문 사용해보기
- 솔리디티
- Remix
- 알고리즘 문제풀이
- 2448
- 가상 화폐
- X보다 작은 수
- 그대로 출력하기
- 함수 사용하기
- Dapp
- 이더리움
- 세 수
- Today
- Total
목록Technology (82)
블링블링 범블링
자료 정의어(DDL: data definition language) 자료 정의어는 스키마를 정의하는 언어이다. 스키마 정보는 자료 사전(data dictionary, 또는 자료 목록(= data directory)이라고도 함)에 들어 있다. 스키마 정보란, 자료(보기: 아이디, 패스워드 등)에 대한 자료(보기: 아이디의 자료형은 char이고 몇자리의 char인지)인데, 이를 메타데이터(metadata)라고 보통 부른다. SQL에서 자료 정의어의 보기를 들면 다음과 같다. create table 유저 {순서 인덱스 char(7), 아이디 char(10), 패스워드 char(15), 보유 캐릭터 개수 int }; 자료 조작어(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자료 조작어는, 데이터베..
데이터 베이스에서 뷰란? 뷰(=view)는 가상 테이블(=virtual relation)이라고도 한다.자료의 추상화(data abstraction) 세 단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사용자 사이의 상호 작용을 쉽게 풀이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를 추상화하며, 보통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수준으로 나눈다. 하지만 이는 개념모델(reference model)이다. 즉 꼭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 베이스의 모든 시스템이 이 모델에 의하여 구성된 것은 아니다. 이는 마치 데이터통신에서(ISO OSI의 일곱 단계 통신모형에 맞는 통신 프로그램이 거의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1) 물리적 수준(physical level) 자료가 실제로 저장되는 수준이며, 가장 아래 수준이다. 2) 논리적 수준(lo..
데이터 베이스(DATABASE)란? 자료를 많이! 모은것! 하지만 자료라고 해서 아무런 연관없는 자료를 그냥 모으면 그건 유용하지 않다.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자료는 서로 연관성이 있는 자료들이어야 한다. 게임이라면 플레이어 데이터 플레이어 아이템 유저 패스워드 같은 식으로 데이터를 연관시켜 모아놓은 것을 의미한다.데이터 베이스 관리시스템(DBMS : 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 베이스와 더불어 많이 쓰이는 용어로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라는 용어가 있다.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다른 개념을 가리킨다. DB는 말그대로 데이터의 집합 DBMS는 그것을 편하게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심플하게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DB는 창고다. DBMS는 그곳에서 일하..
데이터 베이스란?-데이터 베이스는 어느 조직이나 개인이 원하는 요구사항과 관련 된 여러가지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컴퓨터에 저장해 놓은 자료의 집합체이다 데이터베이스의 정의-통합된 데이터 : 자료의 중복을 배제한 데이터 모임-지정된 데이터 :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자료-운영 데이터 :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는데에 있어서 존재가치가 확실하고 없어서는 안될 반드시 필요한 데이터-공용 데이터 :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의지하는 자료 데이터 베이스의 목적1. 체계적인 자료 저장2. 적지적인 자료 제공3. 지식관리 차원 의사 결정 지원 데이터 베이스의 모델1.개념 모델 : 데이터표현의 논리적 성격에 초점을 맞춘 모델.데이터간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서 일대일 다대일 다대다의 세가지..
데이터베이스 정의와 특징데이터베이스를 간단히 정의하면 대용량의 데이터 집합을 체계적으로 구성해놓은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혼자서 사용하는 시스템이 아니므로 여러 명의 사용자나 시스템 간에 상호 공유가 가능해야만 한다. DBMS는(Database Management System)은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주는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를 일컫는다. DBMS의 중요한 특징무결성 - 데이터베이스 안의 데이터는 오류가 있어서는 안된다. 독립성 - 데이터베이스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데이터 파일의 저장소를 변경하더라도 기존에 작성된 응용프로그램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의존적 관계가아닌 독립적 관계여야 한다. 보안 - 데이터베이스 안의 데이터에는 아무나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데이..
앞장에서 봤던 IEEE 802 시리즈 중 802.3은 1-persistent CSMA/CD 방식의 LAN 환경에서의 표준안이고 이더넷은802.3에 있는 제품이다. 공유 버스 구조에서 호스트 간의 프레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을 전소하기 전에 다른 호스트가 공유 버스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해야한다. 이는 전송 선로에 흐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신호 감지 프로토콜이다. 1-persistent CSMA는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채널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 감지 프로토콜의 형태 중 하나이다. 호스트는 채널이 사용 중이면 유휴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리다 유휴 상태가 변경되면 무조건 프레임을 전송한다. 하지만 다중접근이 가능한 채널에서 둘 이상의 호스..
LAN 환경은 근거리에 분포된 호스트를 연결하므로 네트워크 전송 효율이 전송 매체뿐만 아니라 연결 방식이나 전송 방법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LAN 환경에서 데이터링크 계층을 LLC 계층과 MAC 계층으로 나누어 처리한다. 상위에 LLC 계층이 있고 하위에 MAC 계층이 존재한다.LLC 계층은 데이터링크 계층의 기본 기능을 수행한다. WAN 환경의 데이터링크 계층과 거의 유사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LAN 특성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MAC 계층은 물리적 선로의 특징과 매체간의 연결방식에 따른 제어에 대한 역할을 담당한다. WAN 환경에서는 없고 LAN 환경에서 추가된 것으로 알 수 있다. 예시로는 이더넷, 토큰 링, 토큰 버스가 있을 수 있다. IEEE 802 시리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