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솔리디티
- 비트 코인
- 1065
- 평균은 넘겠지
- 별 찍기 - 11
- 블록 체인
- 함수 사용하기
- 알고리즘 문제풀이
- 1546
- 시험 성적
- 2448
- 더하기 사이클
- 자바스크립트
- 10871
- X보다 작은 수
- 단계별로 풀어보기
- if문 사용해보기
- 가상 화폐
- Baekjoon
- Mist
- 10817
- 1110
- 1%d
- 그대로 출력하기
- 이더리움
- for문 사용해보기
- Remix
- 세 수
- 백준
- Dapp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81)
블링블링 범블링
인터네트워킹은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기능이다. 지금까지는 한 네트워크 안에서의 데이터 교환을 보았다면 지금부터는 네트워크 간의 교환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교환은 라우팅 장비가 수행한다. 인터네트워킹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라고 한다. 게이트웨이는 앞서 말한 중개노드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기능에 따라 리피터, 브리지, 라우터로 구분된다. 리피터는 게층 1의 기능을 지원한다. 한쪽 단에서 들어온 비트 신호를 증폭하여 다른 단으로 단순히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신호를 증폭하는 것이 이로운 점도 있지만 잡음도 같이 증폭을 한다는 점에서 단점도 존재한다. 라우터는 계층 3의 기능을 지원한다. 교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여러 포트를 사용해 ..
이번 장에서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분류해보는 공부를 해볼 것이다. 호스트 사이의 연결 거리를 기준으로 네트워크를 LAN, MAN, WAN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연결 거리는 데이터의 전송 지연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네트워크를 설계할 때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가까울수록 데이터 전송 지연이 적으며, 전송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도 낮다. LANLAN은 단일 건물이나 학교 같은 소규모 지역에 위치하는 호스트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호스트의 간격이 가깝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한다. 브로드캐스팅 방식은 앞에서 설명하였지만 다시 한 번 집어보자면 일대다 통신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이다. LAN 환경에서 호스트를 연결하는 방식으로는 버스형과 링형이 ..
도움만 주던 1회성 기부에서 ‘공유 가치 창출’로 상생 실천 (사진) 현대차가 지원하는 다문화가정 초청 ‘무지개 축제’. /현대차그룹 제공 기업 경영과 관련해 자주 등장하는 용어가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다. 기업 홍보를 위한 단순 기부보다 마음에서 우러나온 진정한 기부를 통해 소득 양극화나 실업난 등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는 데 일조하는 것이 CSR의 핵심이다. 최근 들어서는 ‘공유 가치 창출(CSV : Created Shared Value)’이 한 단계 더 진화한 기업의 사회공헌 기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CSV는 기업의 경제적 가치와 공동체의 사회적 가치를 조화시키는 경영을 뜻한다. 2011년 마이클 포터 하버드대 교수가 ‘하..
네트워크 양단에 연결된 호스트들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 경로 중간에 위치한 교환 시스템을 거친다. 네트워크 계층에서 하는 경로를 올바르게 선정하는 교환 기능이 제공된다. 교환 시스템에는 크게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이 존재하고 이외에 셀 릴레이와 프레임 릴레이가 존재한다. 회선 교환 방식은 고정 대역을 할당된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다른 말로 하자면 데이터가 전송될 때 지나가는 길이 정해져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안정적인 전송률을 가질 수 있고 라우팅의 작업이 쉽다. 논리적인 전송 선로를 전용으로 할당받아 모든 데이터가 같은 경로로 전달된다. 패킷 교환 방식은 패킷이라는 일정 크기로 나누어 전송하며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라우팅 과정을 거쳐 목적지에 도달하는 방식이다. 이..
인터넷은 데이터의 중개 기능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계층으로 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이다. 따라서 인터넷에 연결하고자 하는 호스트는 반드시 IP 프로토콜을 지원해야 하며, 전송 계층은 TCP나 UDP를 사용한다. 컴퓨터 네트워크 구현 모델은 사용자 공간과 시스템 공간(운영체제)으로 이루어진다. 앞선 장에서 말했듯이 전송 계층까지의 4계층은 시스템 공간인 운영체제 내부에 구현된다. TCP/IP와 하위 계층의 기능을 담당하는 LAN 카드 드라이버 루틴은 운영체제 영역에 속한다. 사용자 공간에는 다양한 프로세스가 존재할 수 있다. 시스템 공간TCP와 UDP는 시스템 운영체제인 커널 내부에 구현되어 사용자가 직접 이용할 수 없다. 대신 소켓 인터페이스라는 전송 계층의 프라미티브를 사용해서 시스템 콜 기능으..
앞서 OSI 7계층 모델에 대해서 다루었다. 하지만 이번 장은 조금 더 깊게 가보려고 한다. 매우 중요한 계층들에서는 나중에 하나의 장으로 또 다루어지겠지만 지금은 앞의 장보다는 조금 더 깊게 들어간다고 보면 된다. OSI 7계층 모델은 아시다시피 응용 계층에서부터 물리 계층까지 총 7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데이터는 전송할 때 송신 호스트의 응용 계층에서부터 물리 계층으로 이동 후 수신 호스트로 넘어가게 되고 그 데이터는 송신 호스트와 반대로 물리 계층에서부터 올라가 응용 계층을 거친 후 호스트에게 전달된다. 이러한 데이터가 전송될 때는 물리 계층을 제외한 각 층을 거치면서 데이터에 헤더 정보를 추가하게 된다. 헤더 정보는 각 계층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오류에 대한 정보일수도 ..
우리는 앞선 장에서 컴퓨터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배워보았다. 그 중 이번 장은 프로토콜에 중점을 두고 설명할 것이다. 프로토콜이라는 것은 네트워크에 연견된 시스템이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따라야하는 규칙이다. 프로토콜은 전송 오류율, 데이터 전달 경로, 전송 속도 등 다양한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만약 이러한 문제들을 한 프로토콜에서 모두 처리를 하게 되면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프로토콜은 모듈화라는 설계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모듈화는 크고 복잡한 시스템을 작은 모듈 단위로 쪼개서 설계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특정 단위의 모듈들은 독립적이지만 서로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다. 그렇기 때문에 유기적인 관계를 위해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계층적 모듈 구조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