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1546
- 자바스크립트
- 평균은 넘겠지
- Mist
- 이더리움
- 세 수
- 그대로 출력하기
- 더하기 사이클
- 비트 코인
- X보다 작은 수
- 10817
- 가상 화폐
- 별 찍기 - 11
- 시험 성적
- Dapp
- 1065
- 백준
- Baekjoon
- 1%d
- 함수 사용하기
- 1110
- 블록 체인
- 솔리디티
- 알고리즘 문제풀이
- for문 사용해보기
- 단계별로 풀어보기
- Remix
- if문 사용해보기
- 10871
- 2448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81)
블링블링 범블링
앞장에서 봤던 IEEE 802 시리즈 중 802.3은 1-persistent CSMA/CD 방식의 LAN 환경에서의 표준안이고 이더넷은802.3에 있는 제품이다. 공유 버스 구조에서 호스트 간의 프레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을 전소하기 전에 다른 호스트가 공유 버스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해야한다. 이는 전송 선로에 흐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신호 감지 프로토콜이다. 1-persistent CSMA는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채널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 감지 프로토콜의 형태 중 하나이다. 호스트는 채널이 사용 중이면 유휴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리다 유휴 상태가 변경되면 무조건 프레임을 전송한다. 하지만 다중접근이 가능한 채널에서 둘 이상의 호스..
LAN 환경은 근거리에 분포된 호스트를 연결하므로 네트워크 전송 효율이 전송 매체뿐만 아니라 연결 방식이나 전송 방법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LAN 환경에서 데이터링크 계층을 LLC 계층과 MAC 계층으로 나누어 처리한다. 상위에 LLC 계층이 있고 하위에 MAC 계층이 존재한다.LLC 계층은 데이터링크 계층의 기본 기능을 수행한다. WAN 환경의 데이터링크 계층과 거의 유사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LAN 특성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MAC 계층은 물리적 선로의 특징과 매체간의 연결방식에 따른 제어에 대한 역할을 담당한다. WAN 환경에서는 없고 LAN 환경에서 추가된 것으로 알 수 있다. 예시로는 이더넷, 토큰 링, 토큰 버스가 있을 수 있다. IEEE 802 시리즈는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전송 데이터를 프레임이라는 작은 단위로 나누어 처리한다. 전송 프레임에는 상위 계층에서 보낸 전송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섬, 송수신 호스트의 주소, 기타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제어 코드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프레임은 내부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문자 프레임과 비트 프레임으로 나누어진다. 문자 프레임은 프레임의 내용이 문자로만 구성된다. 프레임의 시작과 끝에 특수 문자를 사용하여 구분하는데 시작에는 DLE/STX가 나오고 끝에는 DLE/ETX를 두어 프레임을 다른 정보와 구분하게 된다. 하지만 데이터 안에도DLE/STX나 DLE/ETX 와 같은 문구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어 데이터를 읽는 과정에서 혼선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자 스터핑이..
오류 제어는 호스트 간의 데이터 전송이 일어날 때 데이터의 오류에 관련된 제어를 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에서 주로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의 질문들을 통해 오류 제어에 대해 알아보자. ∙송신 측은 수신 측이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이는 응답 메커니즘에 의해 알 수 있다. 긍정 응답을 할 경우 제대로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송한 데이터가 중간에 손실된 경우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이와 같은 경우에 수신 측에서 이를 판단할 방법은 없다. 그렇다면 송신 측에서 이를 판단해야한다. 송신 측에서 타이머를 설정하여 주어진 시간 동안에 긍정 응답이 오지 않을 경우 손실로 판단하는 것이다. 긍정 응답 회신이 없으면 타임아웃 기능을 동작시켜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
삼성 갤럭시 기어S4 삼성 갤럭시 기어S4(Samsung GALAXY Gear S4)는 이전에 먼저 출시되었던 삼성 갤릭서 기어S3의 다음 버전으로많은 분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삼성전자의 스마트워치 입니다. 2017년 9월 1일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한 국제가전제품 IFA 2017 박람회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으며 기존의 삼성 갤럭시 기어S3에서 보다 많은 기능이 더 추가된 제품입니다. 정말 말그래도 출시도 하기 전에 많은 분들의 관심을 한눈에 받고 있는 제품인데요. 현재 IT관련제품들이 발전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스마트워치, 그중에서도 갤럭시 기어S4가 단연 돋보이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출시 예정인 갤럭시 기어S4의 기능과 가격등 스펙을 알아보겠습니다. 삼성 갤럭시 기어S4 스펙 ※ 아래의 스펙정보는 해외..
'갤럭시 기어S4'를 포함해서 아이폰시계라고도 불리는 애플의 '애플워치', 또한 LG전자의 LG워치등 다양한 스마트워치가 있습니다. 그러면스마트워치란 ?무엇일까요?스마트워치는 쉽게 말해 스마트폰과 시계의 기능을 고루 갖춘 스마트기기 입니다. 스마트워치는 일반 손목시계와는 달리 스마트폰 못지 않은 다양한 기능이 있는데요. 앞으로 스마트폰을 이어갈 차세대 IT전자 제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처음 출시 됬을 당시 아직 미흡한 모습을 보인 스마트워치는 계속된 개발로 인해 현재는 시계의 사용법을 살리면서도 새로운 기기 환경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다가올 시대에는 스마트워치 시장이 훨씬 더 규모가 커지고 엄청난 성장을 이룰 것 이라는 많은 전문가의 전망이 많습니다.
네트워크는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호스트들을 연결해 하나의 통신망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크게 3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자원 공유, 병렬 처리에 의한 성능 향상, 중복 저장으로 인한 신뢰성 향상으로 될 수 있다.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컴퓨터 하드웨어 외에 물리적, 논리적 정보 공유를 할 수 있고 시스템이 수행할 작업을 분할해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처리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용한 정보를 여러 시스템에 중복 저장하여 하드디스크 손상과 같은 데이터 손실에 대한 복구가 가능하다. 한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과정을 데이터 전달이라고 한다. 데이터 전달에는 두 가지 과정이 존재하는데 교환과 전송이다. 교환은 둘 이상의 경로 중에 어느 방향으로 전달할지 선택을 하..